2FEB

위카 메디테이션(Wicca Meditation)

Realize 2020. 2. 24. 03:29

 

위치크래프트를 행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몸과 마음을 정돈해야 한다.

아무도 방해받지 않는 장소에서 하며

하루 최소 10~20분은 따로 시간을 내서 하는걸 추천한다.

 

이에 대해 위카 메디테이션(Wicca Meditation)을 소개해본다.

땅의 그라운딩 메디테이션과 유사하지만 좀 더 아름답게 짜여져 있다.

 

만약 이게 별로 땡기지 않으면

달빛지기의 정화법에 올라오는 테크닉에서 골라서 하면 된다.

 

 

[ 준비 ]

 

가급적 편안한 옷을 착용한다.

조명이 너무 밝지도 너무 어둡지도 않게 부드러운 분위기가 느껴지도록 한다.

명상음악이나 차분한 음악을 틀어도 된다.

명상을 하고 난 다음에 체험한걸 적는 메모장을 준비한다.

초와 향을 준비한다.

 

 

 

[ 마법의 기도(Magickal Prayer) ]

 

3번 읽는다.

 

From beneath me arises the energy of the Earth, my home and my foundation.

From above me pours down the light of the Sun and the enchanting Moon.

 

To my right hand flows the strength to control and direct, the power of magic.

To my left hand comes the skill to divine and to heal, the source of blessing.

 

Before me arises the perfected one I strive to become, my magical true self.

Behind me falls the one I was, and with it my discarded failures.

 

Around me circle the eternal stars, lamps of wisdom in the deeps of space.

Within me grows the flame of life, the light of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 그라운딩(Grounding) ]

 

육체와 정신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대지의 어머니에게 돌려보낸다.

위치크래프트나 기타 리추얼 그리고 명상에서 그라운딩을 매우 중요하게 본다.

리추얼중에 부정적인 생각이나 에너지를 접할 때 바로바로 처리할 수 있어서 그렇다.

 

 

1. 초를 키고, 향을 피운 다음 자리에 앉아 눈을 차분하게 감고 몸을 이완한다.

 

2. 숨을 들이마시면서 1~4를 세고, 숨을 멈추면서 1~4를 세고,

    숨을 내쉬면서 1~4를 세고, 숨을 멈추면서 1~4를 센다. 이를 9번 반복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숨을 멈출 때 목이 혀로 막혀있는게 아니라 열려 있어야 한다.

 

3. 평상시의 자연호흡으로 돌아간다.

 

4. 자신이 숲속의 나무 사이의 빈 터에 앉아 있다고 상상한다.

 

5. 숲속 주변에서 신선한 나무와 나무껍질 그리고 녹색잎이 보이고, 피톤치드향이 느껴지고,

    앉은 땅바닥의 촉감이 느껴진다.

 

6. 천천히 자신의 몸이 나무와 융합되어 흡수된다고 상상한다.

 

7. 나무와 하나가 된 다음 나뭇잎, 나뭇가지, 나무의 몸통, 나무의 뿌리를 느껴본다.

    나무의 뿌리는 땅 깊숙이 박혀있는데 지구의 중심핵까지 닿아있다.

 

8. 하늘에서 태양빛이 밝게 비추며, 그 황금빛 태양에너지가 물같이 흘러 나무(자신)에게 흘러내린다고 상상한다.

 

9. 황금빛 태양에너지는 나무의 몸을 통과해 뿌리로 흘러내려 지구중심핵까지 흘러내려간다고 상상한다.

   여기서 흘러내려갈 때, 나무의 안쪽을 에너지가 흘러내려 씻겨준다는 느낌으로 하면 된다.

 

10. 숨을 들이마시면서 1~4를 세고, 숨을 멈추면서 1~4를 세고,

    숨을 내쉬면서 1~4를 세고, 숨을 멈추면서 1~4를 센다. 이를 9번 반복한다.

 

11. 상쾌하고 차분한 느낌을 느끼며 눈을 천천히 뜬다.

 

12. 몸을 천천히 움직이며 스트레칭을 하고 명상을 종료한다.

 

설정

트랙백

댓글

2FEB

벨테인(Beltane, 입하)과 위대한 의식(Great Rite)

Realize 2020. 2. 23. 19:23

 

위카의 축제일에는 보통 봉헌식 이외의 다양한 의식이 행해진다.

켈트족의 축제인 벨테인은 달력으로 북반구는 5월1일, 남반구는 11월1일인데

실제로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입하일에 하고 켈트족의 축제명인 벨테인 이외에

발푸르기스의 밤 / 헥센나이트=마녀의밤이라고도 부른다.

 

카톨릭에선 5월 1일을 성녀 발부르가(710~777)가 교황 하드리아노 2세(867~872재위)에 의해

성인으로 공포된 시성일로 축제일이었지만

암흑의 중세시대 마녀사냥이 성행하던 16~17세기 시절엔

악마와 마녀의 난교축제일, 악마의 연회일이라고도 부른적도 있다.

요렇게 복잡미묘한 날이 벨테인이다.

 

이런 무지막지한 날이 된 이유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축제라서 그렇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접하는 일본만화에 풍작기원의 축제가 종종 나오는데 이게 벨테인과 유사하다ㅋ

(므흣!)

 

 

수신의_제물_17화

 

이게 발푸르기스의 밤이고 헥센나이트이며 벨테인이다.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근엄 진지)

 

위카에서는 이 벨테인에 남신과 여신의 결합으로 다산과 풍요를 의미하는 위대한 의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니

크게 육체를 겹치는 물질적인 의식과 소드와 컵의 상징을 사용한 정신적인 의식으로 나뉜다.

 

모두 남성성과 여성성의 결합을 의미하고 부부위칸이 아닌이상 왠만하면

보편적이고 낯부끄럽지 않게 공개가능한 상징적인 의식으로서의 Great Rite를 진행한다.

 

소드와 컵을 사용한 상징적인 의식은

간단하게 기도문을 올리며 소드를 들어 컵안에 꽂는 것이다.

간단하지 않은가!?

 

소드는 남자의 성기를

컵은 여자의 자궁을 의미한다.

 

엣찌하다고 하지 말자!

위카에서 늘상 접하는 그냥 소드랑 컵의 상징적인 의미일 뿐이다.

엣찌한건 당신의 존경스러울정도로 무한한 변태상상력 120%일 뿐이다ㅋㅋ

 

변태!!!!

 

 

 

그러면 벨테인엔 이것말고 하는 의식/축제가 없을까?

아니다.

지역별 관습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게 있다.

 

모닥불을 피워 성스러운 불의 축제를 하거나~

산사나무나 메이폴을 장식하여 나무의 정령에게 기원하거나~

성스러운 우물(Clootie wells)에 가서 우물의 신들 or 우물의 정령들에게 기원하거나~

이런 행사를 하는 곳도 많다.

 

벨테인은 이런 축제일이다.

위카에서 위대한 의식만을 얘기하니 그것만이 벨테인의 전부라는 생각은 하지말자ㅋ

얼마든지 연구에 따라 멋지고 다양한 축제를 할 수 있는 날이니까!!!

 

이런 날을 1년 365일 언제든지 할수있는 봉헌식만으로 끝내긴 아쉽지 않을까?

 

그... 그냥 그렇다고!!!

 

 

'Realiz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완(Relaxation)의 중요성  (0) 2020.02.24
위카 메디테이션(Wicca Meditation)  (0) 2020.02.24
임볼크(Imbolc) ~ 여신의 회복과 불의 축제  (0) 2020.02.23
율(Yule) ~ 태양의 부활!  (0) 2020.02.22
위카 상징들 리스트  (0) 2020.02.22

설정

트랙백

댓글

2FEB

임볼크(Imbolc) ~ 여신의 회복과 불의 축제

Realize 2020. 2. 23. 03:22

 

 

 

임볼크(Imbolc)  / 입춘 / 양력 2월 2일 <- 실제로는 약 2월 4일 입춘일이다.

 


임볼크는 고대 켈틱명으로

현대에는 캔들머스(Candlemas), 브리드(Brigid's)

그리고 카톨릭에서는 성촉절(Groundhog Day)이라고 부르며 불의 축제를 하는 날이다.

 

 

 

이 날은 입춘일로 봄의 시작을 알린다.

고대 농경사회에서는 한해 농사의 시작을

입춘일로 잡았기에 상당히 중요한 날이기도 하다.

 

 

이 입춘일의 계절변화를 위카에서는

세명의 여신(Triple Goddess)중 노파신이 처녀신로 변하는 것,

또는 노파신의 에너지가 처녀신의 에너지로 바뀌는 것으로 표현한다.....

 

켈틱 불의 여신인 브리짓(또는 브리드)을 기념하는 날이기도 하며

추운 겨울을 무사히 넘겼다는 것을 기념하는 축제날이기도 하다.

 

또 율에서는 태양의 부활이라는 의미였다면,

임볼크는 태양(God)을 출산한 여신의 회복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임볼크는 처녀신이 어린 소년을 안고 있는 형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낮이 점점 더 길어지는 것은 여신의 각성을,

어리고 튼튼한 소년은 태양을 의미하는데 성장을 하는 중이므로

그 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임볼크에는 따스한 햇살의 힘으로

땅의 차가운 얼음들은 모두 녹고 얼어붙은 씨앗에서 새싹이 돋기 시작한다.

 

 

이 사밧은 재생된 태양의 힘으로 겨울을 끝내기에 정화를 의미하기도 하며,

이 태양빛을 횃불이나 램프 그리고 양초로 상징하여 축제에 사용한다.

(불의 신의 불꽃으로 태워 정화시키므로 정화를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계절의 변화에 대한 의미를 활용하여 위카에서는.....

이 날을 새로운 뉴비 위칸을 자신의 코번에 가입시키거나

제자를 입문시킬 때 이 임볼크 즉 입춘일을 사용한다.

즉 위칸의 입학식하는 날이다.

 

 

카톨릭에서는 성모 마리아가 유대교 율법에 따라 예수님이 태어난지 40일만에 정결한 예식을 치르고

하느님께 봉헌하기 위해 예루살렘 성전에 간 것(누가복음 2장22절~38절)을 기념하는 축일이다.

근대 당시에는 달력이 달라서 그런지 현재달력으로 12월25일부터 40일을 달력으로 세워보면

2월 2일이 아닌 2월 4일 입춘일이다-_-a

 

예수님은 세상을 빛으로 밝히기 위해 성전에서 신의 아들로서 나왔고

카톨릭에서는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불의 축제를 하였다.

 

원래 오리지날 임볼크 축제에서는 횃불이나 램프를 중심으로 사용한 반면.....

 카톨릭에서 도입을 하면서 횃불에서 양초로 바뀌게 되었고

축제가 끝난 후 카톨릭 신자들이 양초를 가져가 가정을 보호하는 의미로 두었다고도 한다.

 

 

카톨릭의 성촉절은 당시 페이건들(지역고유 토착신앙 사제들)의 문화를 흡수하였고....

페이건들의 전통 임볼크 축제는 카톨릭이 커져나가면서 점차 소멸되고 성촉절로 통일되었다.
이렇게 사장된 것을 제럴드 가드너가 다시 복원 및 현대화 시켜 보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설에 의하면 제럴드 가드너가 복원한 것이 퍼지기 전에는

이러한 축제를 하는 페이건들이 거의 없다시피 했다고 하며

사밧의 축제 자체가 가드너가 위칸들의 코번 집회를 위해 만들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정말 이 축제가 가드너 이전에 완전히 사장되었는지는 솔직히 나도 잘 모르겠지만

카톨릭의 성촉절이 오랜기간 동안 임볼크를 대신 했다는 것은 공감한다.

 

 

또 이것말고도 성촉절에 대해서 카톨릭에서는 묘한 전설이 전해지는데......

5세기경의 교황 젤라시오 1세가 로마에 오는 순례자들에게

크레이프를 대접했다고 하여 해외에서는 이 날을 크레이프(얇은 팬케이크)를 먹는 날이라고도 하기도 한다.

잘 모르겠지만 빼빼로 데이나 발렌타인 데이 같은 상술전설이 아닐까 싶긴하다ㅋㅋ

 

 

축제를 준비할 때 필요한 마법도구들은 촛불이나 램프를 제외하고 아래와 같다.

 

향 : 로즈마리, 프랑킨센스, 몰약, 시나몬(계피)
장식 : 곡물로 만든 허수아비 인형, 빗자루, 봄철 꽃들
색상 : 하얀색, 오렌지색, 빨간색
음식 : 태양을 상징하는 모든 음식들

 

단, 반드시 이런 마법도구들을 똑같이 사용해야한다는건 아니다.

 

 

그리고 태양신이 아닌 불의 신, 풍요의 신, 아테네, 가이아 등을 기리기도 한다.

참고로 불의 신은 헤스티아, 불카노스, 아그니, 헤파이토스, 축융 등이다.

 

즉 자신이 기리는 신과 자신의 취향과 기호에 맞추어

각 축제에 알맞은 도구와 음식들을 준비하면 된다는 얘기다.

 

 

위에 소개한 허수아비 인형과 빗자루는

아래와 같이 상당히 세련되어 보이는걸 사용하기도 한다ㅎㅎ

 

 


 

초나 램프는 다른 사밧에 비해 제단에 많이 배치하기도 하고,

제단 이외에도 방마다 촛불을 키거나,

창문에다가 촛불이나 램프를 키거나 하는 등의 독특한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 캔들매직을 하기에 좋은 날이기도 하며

확실하지는 않지만 캔들매직은 여기서 파생되어져 나온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율에서 덧글로 단 것처럼 한줄 요약정리를 해보겠다.

임볼크에는 태양&풍요&불의 신 및 정화&입문과 관련된 위치크래프트를 한다. 

 

 

음.....

한국의 불의 신으로 대체를 하면 조왕신.

일본의 불의 신으로 대체하면 가쿠즈치노카미.

 

한국의 풍요의 신으로 대체를 하면 자청비.

일본의 풍요의 신으로 대체를 하면 이나리대신명=우카노미타마노카미.

 

 

이렇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나리 콩콩 사랑의 첫걸음에 나오는

풍요의 여신 우카를 소개한다ㅋㅋ(응?)

 

설정

트랙백

댓글

2FEB

율(Yule) ~ 태양의 부활!

Realize 2020. 2. 22. 23:22

 

 

 

율(Yule) / 동지일 / 양력 12월 21~22일

 

 

율(Yule)은 동지일을 의미하는 현대영어이고, 우리들이 항상 오길 기다리는 크리스마스 성탄절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날은, 낮의 시간이 가장 짧은 날로 이 날을 기점으로 리타Litha(하지) 전날까지 계속 낮의 시간이 길어지며,

태양의 재탄생을 의미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고대인들은 보았기에, 매년 동지가 되면 태양신을 기리는 축제를 하였다.

이 축제는 몇몇 종교에서만 한 것이 아니라 고대 세계 전역에 비슷비슷하게 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 동지일을 고대 영어권에서는 ‘Geola’, 고대 노르웨이에서는 ‘Jol’, 앵글로 섹슨족에서는 ‘Iul’,

고트족에서는 ‘Jiuleis’, 게르만족에서는 ‘*jehwlą’라고 불렀고, 모두 ‘바퀴’를 의미한다.

 

 

특히 고대인들은 이 날을 태양의 부활 시기라고 봤는데.......
아폴로, 미트라, 호루스, 라, 아톤, 헬리오스, 히페리온, 아후라 마즈다, 미카엘, 바알, 수르야 등

각 문화권 태양신들의 탄생과 연관이 있다.

 

참고로 동지를 이집트 호루스 신화로 풀면,

여신 이시스가 세트에 의해 죽은 남편 오시리스를 미라로 만들어 잠깐 살려 사랑을

나누고 태양신 호루스를 낳는걸로 볼 수 있다.

 

 

이걸 보면, 카톨릭 교황청에서도 동지를 예수님이 태어난 크리스마스로 지정한 것은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엔 어렵지 않을까 싶다. 다들 알겠지만, 참고로 예수님이 탄생한 날은 크리스마스가 아니다.
 

즉, 이 동지 축제를 카톨릭 교황청에서 수용하고 재구성하여 예수님이 태어난 날로 널리 퍼트렸다는 얘기다.

아마도 다른 종교권에서 이 날이 가지는 상징과 의미 그리고 그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기에,

민간백성들에게 ‘우리 종교도 이런 축제가 있다’라며 친근감 있게 다가가기 위한 종교전파 수단으로서

만들어진게 아닐까 개인적으로 보고 있다.

 

 

로렌 데이라는 외국 학자는........

“현대의 크리스마스는 고대 바빌로니아의 태양신 바알을 기리는 축제가 4세기경 로마교회에 수용된 것 같다.”라고 하였다.

또한 로렌 데이는 나중에 언급할 오스타라(춘분) 역시 고대 바빌로니아의 바알의 자식인 담무스의 부활을 기리는 날을

로마교회에서 수용하여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이라고 하여 부활절을 만들었다고도 주장을 한다.

해외에서는 당시 상황들을 토대로 이 설들이 가장 신빙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동지일는 음양력으로 고정된 날이 아니라 태양황도를 중심으로 구분하는 24절기로 봐야 한다.

즉 동지일은 매년 조금씩 바뀔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동지와 태양신만을 언급했는데 사실 동지에 태양신을 기리지 않는 여러 위칸들도 있다고 한다.

그럼 누굴 기리느냐? 유명한 고대영웅들인 테세우스, 헤라클레스, 페르세우스, 아서왕 등을 기린다고 전해진다.

뭐, 맘에 드는 태양신이 없다면 각종 고대 종교의 잊혀진 태양신들을 찾아본다던가

유명한 고대영웅들을 찾아보는 것도 상당히 괜찮은 선택이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위카가 해외에서 들어온 것이기에 대부분 그리스, 로마, 켈틱 등의 태양신들만

언급이 되어 있는데 한국문화에서는 연오랑, 일본문화에서는 아마테라스가 있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원래 두시간전에 잘려고 누웠는데.......

이 글을 마저 써서 올리라는 압박이 와서 침대서 일어나 쓰고 이제 자러감!!

자고 싶은데 눈이 초롱초롱한건 웬말이냐!!! ㅇ_ㅠ

설정

트랙백

댓글

2FEB

위카 상징들 리스트

Realize 2020. 2. 22. 03:21

 

Wicca and Witchcraft 서적 209 페이지에 있는 내용으로

 

대충 저런 상징이구나 봐두면 된다ㅋ

설정

트랙백

댓글

2FEB

왜 태양과 달의 테크닉을 함께 해야하는걸까?

Realize 2020. 2. 21. 19:20

 

위카를 말하면서......

사밧과 에스밧을 말하면서......

의외로 에스밧을 중요시하는 위칸들이 있는거 같다.

 

에스밧은 1달에 2번씩 1년에 24번

사밧은 1년에 8번이라는 횟수를 말하면서

더 자주 있으니까 라는 당위성을 부여하기도 하고......

위카는 달과 관련이 깊고 여신과 관련이 깊고 잠재의식과 관련있다고 하기도 하고 등등.......

 

 

근데 그건 오해다!

 

 

위카는 사밧과 에스밧 모두 중요하다!

 

단순하게 에스밧이 사밧보다 더 자주 있어서 그런게 아니다!

(서양의 페미니즘 운동이 위카에 섞여 퍼진 부분도 있어서 그런거ㅠㅠ)

 

 

태양과 달중 달이 더 중요하다

낮과 밤중 밤이 더 중요하다

남신보다 여신이 더 중요하다

 

아빠보다 엄마가 더 중요하다

정자보다 난자가 더 중요하다

 

이런식으로 말하는거랑 뭐가 다를까?

 

 

 

성모 마리아처럼 홀로 아이를 낳을 수 있다면 모를까......

 

 

아담 카드몬이라면 모를까.......

 

 

먄먄

우린 걍 인간이지 ㅇ_ㅠ

 

 

 

세상에는 +양극와 -음극이 있는데

둘중 하나는 사라지고 나머지 하나만 존재한다면 어떻게 될까?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과 다를꺼란건 분명한 사실이다.......

 

학생이라면 선생님에게 물어보자!

"센세! 만약 세상에 +-극중 하나만 있으면 어떻게 되나욤? 오네가이~"

 

 

 

그냥 무조건 하나만 있는게 좋으면 세상에 빛만 있으면 되지 왜 어둠이 있겠어?

하나님이 바본가?

 

(창 1:4)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세상 모든 동식물이 커가는데 있어 태양과 달중 뭐가 더 중요해?

 

둘중 하나만 선택하라하면 선택할 수 있어?

 

난 선택 못해!

 

왜냐~ 둘다 모두 중요하니까!!

 

엄마가 중요해 아빠가 중요해?

엄마가 중요하면 아빠 없이 너가 태어날 수 있을까?

아빠가 중요하면 엄마 없이 너가 태어날 수 있을까?

 

 

적절한 조화가 필요할 뿐...........

 

내가 너무 이해하기 어려운 말하는건 아니지?

 

 

 

 

이렇게

너무 에스밧만 챙기면

너무 달빛 에너지만 챙기면

마치 엘리멘탈이 편중될 때처럼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드시 생기는건 아냥~ 이유는 밑에~)

 

 

그래서 요 글처럼 부족한 엘리멘탈을 채우는 방법이 있는거지~

 

 

늘 부족하거나 늘 과하면 문제가 생기는건 당근이지?

 

이거 잘 몰겠으면

배 터지고도 남을 정도로 계속 꾸역꾸역 음식을 먹어보거나

뱃가죽이 달라붙을 정도로 굶어봐라

그리고나서 적당하게 포만감이 느껴질 정도로 먹어봐라......

 

그 경험으로 세상의 진리를 온몸으로 뼈져리게 느껴라!!!

 

적절한 밸런스가 존재할 뿐...

 

 

 

사밧과 에스밧 등을 통해 연결되는

태양 에너지와 달 에너지도 마찬가지다!

적절한 밸런스를 유지해야 된다.......

 

하나에 너무 편중되면

위칸이 사용하는 에너지와 육체에 무리가 생길 수 있다.

(뭐 왠만하면 그럴 일은 없다ㅋ 이유는 밑에~)

 

그럼 내가 올린 태양과 달의 테크닉들은 어떤 비율이 가장 이상적일까?

1년 사밧과 에스밧의 비율과 동일하다!

1년에 사밧은 8회 에스밧는 24회

8:24

 

태양1 : 달3

 

달과 관련된 테크닉을 3회 했다면

태양과 관련된 테크닉을 1회 해야 밸런스가 맞는단 얘기지.....

 

 

단순하게 달3이라 달이 더 중요시하지 않냐라고 생각할 위칸이 있을지도 모를텐데

너도나도 다 아는 조큼 과학적인 이야길 해보자!

 

사람의 혈액은 0.9%의 염분 농도를 유지해야 한다.

그건 사람의 혈액에는 물과 소금 등이 있다는거지.....

근대 물이 소금보다 많다고해서 소금이 필요없는건 아니지?

혈액의 염분농도가 0%가 되면 어떻게 될까~

 

dEaTh가 되겠지ㅎ

 

이제 물어볼게.....

인체혈액에 소금 중요해 안중요해?

 

 

 

그나마 다행이라면 다행인게

에스밧만 하더라도 우린 태양빛 안보곤 못살잖아?

 

우리 생활이 낮에는 자고 밤에는 활동하는 그런게 아니라서

어쩔 수 없이 태양빛을 쬐니까 그나마 조큼이라도 채워진다.

 

젤 좋은건 내가 공개한 태양 테크닉들을 하면 더 많이 채워지고~

 

 

만약 스스로 생각하길 "난 에스밧만 했는데 아무문제 없어!"라고 한다면

평소 태양빛 받는거로 문제없을 정도로 달빛 에너지를 받는거라고 보면 대부분 맞을거다.

(이 다음으로 이어지는 얘긴 안해도 알아들을듯......)

 

 

1:3을 다르게 정리하면~

 

태양의 힘 1 = 달의 힘 3

 

이러면 중요도가 달라보이지?

 

 

 

이제 태양과 달의 사밧과 에스밧중 뭐가 더 중요하냐고 하면

 

둘 다 중요해!

 

라고 말할 수 있는 위칸들이 늘어나길 바란다.

'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