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몬의 게티아 72악마에 대한 설명중 제일 마음에 드는 내용...........

Realize 2021. 7. 10. 13:13

 

 

Grimoire of Aleister Crowley Group Magick Rituals p129

에는 게티아 에보케이션에 대한 설명과 크로울리의 방식을 알려주는데요.

 

개인적으로 게티아 관련 글들중 가장 마음에 드는 설명이 꽤 많이 나와요!

번역본을 올릴까 하다가 걍 안올리고 보기 쉽게 몇몇 부분만 뽑았어용~

 

 

일단 게티아의 원서중 가장 완전한 버전은 17세기에 만들어졌고

72악마 목록은

1500년경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1462~1516)의 스테가노그래피와

1563년 요한 와이어(1515~1583)의 Pseudomonarchia Daemonum와

비슷해요.

 

아마도 마법사에서 마법사에게로 조용히 전해지다가 17세기에 모습을 들어냈고

17세기 이후 여러 마법사들이 사용하면서 꽤 많은 수정을 거쳤는데

 

너무나도 유명한 골든던의 맥그리거 매더스가 번역한 게티아 = 크로울리가 출판한 게티아는

대영박물관 도서실에 있던 Sloane 2731, 3648을 번역+크로울리의 본레스 리추얼을 추가한거고

아브라멜린의 신성마법처럼 꽤 많은 오류와 누락된 부분이 있지만

크로울리 등이 사용해서 실제효과를 봤죠.

 

전통적으로 게티아 악마는 “타락한 천사”(예 : 베리알)로 간주되어 하느님께 반역하고 지옥으로 추방되거나

초기 유대인 부족에 의해 정복되었을 때 악마로 변한 오래된 이교도 남신들과 여신(예 : 바알, 아스타로트)이에요.

 

이 악마들은 타락한 상태를 분개하고 천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무엇이든 하려고 하는데

이 부분이 바로 마법사가 계약을 통해 끼어들어가는 부분이죠.

즉 악마는 신과 가까운 마법사와 함께 작업함으로써 좋은 업장을 얻고 구원에 더 가까워지는거에요.

 

이들은 막연함과 애매모호함으로 번성하고~

해야하는 일에서 벗어날 기회를 잡으려고 하는 게으른 노동자들과 같아

내용상 도망칠만한 구멍을 찾으면

몇 시간 동안 기꺼이 논쟁할 수 있는 강성노조의 위원장들 같은 존재들이기도 하죠.

 

유명한 게티아 학자 데이비드 랭킹은

에보케이션 주문과 제약/속박을 주문을 반복하는 것은

때로 전화를 거는 사람이 바로 전화를 받을 수 있지만

전화를 받기 전에 몇 번 울려야 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과 같다고 하며

"전화 벨소리"라고 표현해용~

그 얘긴 곧 몇 번을 반복해도 걱정할 필요 없다는 거죠ㅎ

 

그럼 게티아 악마는 어디에 있을까요?

지옥에 살고 있을까요?

만약 지옥에 없으면 그들은 어디에 살고 있을까요?

저자 로드니 오르페우스는 솔직히 모르겠다고 하면서~

크로울리의 주장대로 우리의 무의식 속에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해요.

 

 

게티아 마법이 작동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욤!?

크로울리의 정리본은 요렇게 되용~

 

• 현실에 대한 인식은 뇌 화학의 변화로 구성됩니다.

• 따라서 우리의 개인적인 현실은 뇌 외부가 아니라 뇌 안에 있습니다.

• 마법 효과는 뇌 변화의 환상의 결과물들입니다.

• 마법이 아닌 많은 효과는 뇌의 환상이기도 합니다.

• 따라서 마법은 우리가 현실로 인식하는 다른 많은 일상적인 것들만큼 현실적입니다.

 

• 게티아 마법은 마법 효과를 만듭니다.

• 뇌에는 마법 효과가 있습니다.

• 따라서 게티아 스피릿들은 인간 두뇌의 일부입니다.

• 스피릿을 에보케이션 하는 것은 뇌의 특정 영역을 자극합니다.

• 뇌의 전반적인 통제 (신의 이름)

• 세부적인 두뇌 제어 (스피릿 등급)

• 뇌의 특정 영역 제어 (스피릿의 이름)

• 이 부위는 시각(스피릿의 씰)과 후각(향)으로도 자극을 받습니다.

 

 

하지만 크로울리의 주장에는

외부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빠져있는데

오르페우스가 줄리안 제인스&루퍼트 쉘드레이크의 읽으면 머리아픈 무지무지 어려운 책들을 읽고

제인스-쉘드레이크-오르페우스 모델이란 것으로 정리해용ㅋㅋㅋ

 

​• 뇌의 특정 영역은 일반적인 의식으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예 : 베르니케 영역)

• 이러한 영역에 대한 마법적인 자극을 통해 우리는 그 영역 내의 사고 과정에 대해 "말할 수 있습니다".

• 이 의사 소통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사고 방식에 접근하고 뇌의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영역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불러 일으키고 다양한 방식으로 환경에 반응하게 합니다.

• 한 사람의 의식 변화는 종 전체에 해당하는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다른 부분도 좋지만 특히 이 제쉘오 모델의 내용

정말 아름답지 않나요~★

 

설정

트랙백

댓글